전에 하던 대로
다니엘 6:10-16
다니엘 6:10-16
10 다니엘이 이 조서에 왕의 도장이 찍힌 것을 알고도 자기 집에 돌아가서는 윗방에 올라가 예루살렘으로 향한 창문을 열고 전에 하던 대로 하루 세 번씩 무릎을 꿇고 기도하며 그의 하나님께 감사하였더라 11 그 무리들이 모여서 다니엘이 자기 하나님 앞에 기도하며 간구하는 것을 발견하고 12 이에 그들이 나아가서 왕의 금령에 관하여 왕께 아뢰되 왕이여 왕이 이미 금령에 왕의 도장을 찍어서 이제부터 삼십 일 동안에는 누구든지 왕 외의 어떤 신에게나 사람에게 구하면 사자 굴에 던져 넣기로 하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니 왕이 대답하여 이르되 이 일이 확실하니 메대와 바사의 고치지 못하는 규례니라 하는지라 13 그들이 왕 앞에서 말하여 이르되 왕이여 사로잡혀 온 유다 자손 중에 다니엘이 왕과 왕의 도장이 찍힌 금령을 존중하지 아니하고 하루 세 번씩 기도하나이다 하니 14 왕이 이 말을 듣고 그로 말미암아 심히 근심하여 다니엘을 구원하려고 마음을 쓰며 그를 건져내려고 힘을 다하다가 해가 질 때에 이르렀더라 15 그 무리들이 또 모여 왕에게로 나아와서 왕께 말하되 왕이여 메대와 바사의 규례를 아시거니와 왕께서 세우신 금령과 법도는 고치지 못할 것이니이다 하니 16 이에 왕이 명령하매 다니엘을 끌어다가 사자 굴에 던져 넣는지라 왕이 다니엘에게 이르되 네가 항상 섬기는 너의 하나님이 너를 구원하시리라 하니라
말씀요약
제목: 전에 하던 대로
다니엘 6:10–16
손흥민 선수는 경기 전 항상 똑같은 식사, 신발끈 묶는 순서까지 반복하며 안정감을 얻는다고 고백합니다. 작은 루틴이 큰 경기력을 뒷받침하는 것이죠. 신앙도 다르지 않습니다. 오늘 본문 속 다니엘은 사자굴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전에 하던 대로” 예루살렘을 향해 하루 세 번 기도하며 하나님께 감사했습니다. 위기에서 믿음을 지탱해 준 것은 평소에 익숙해진 영적 루틴이었습니다.
1. 요셉과 다니엘의 선택
다니엘은 음모를 “알고도” 정치적 대응이나 분노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오직 기도의 루틴으로 나아갔습니다. 요셉도 애굽의 총리가 되어 형들을 벌할 수 있었지만, 오히려 “하나님이 생명을 구원하시려 나를 앞서 보내셨다”고 고백합니다. 이들은 다 아는 상황에서도 복수하지 않았습니다. 그들 안에 하나님 앞에서 단련된 믿음의 습관, 루틴, 은혜의 기억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자굴 앞에서도, 형제의 배신 앞에서도 분노가 아닌 믿음으로 문제를 풀어갈 수 있었습니다.
2. 내면에 쌓인 습관이 해석을 결정한다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과거의 경험으로 형성된 ‘스키마’로 현재를 해석한다고 말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형성된 왜곡된 인식은 칭찬조차 공격으로 받아들이고, 관계를 반복적으로 파괴하게 만듭니다. 마찬가지로 신앙에서도 말씀이 쌓인 사람은 위기 앞에서 부정이 아닌 감사로 반응합니다. 잘못된 루틴, 과거의 상처에서 비롯된 해석은 위기의 순간에 왜곡된 대응을 낳습니다. 성령 안에서 우리는 과거의스키마를 내려놓고, 말씀과 기도 속에서 새로운 신앙적 루틴을 형성해 가야 합니다.
3. 관계도 빌드업 된다
루틴은 내면뿐 아니라 관계도 변화시킵니다. 요셉이 형들과 화해하며 눈물로 안아준 것, 다니엘을 통해 다리오 왕이 하나님을 만나게 된 것, 박위 청년이 절망 속에서도 감사로 살아가는 모습은 모두 복음 안에서 형성된 긍정적 루틴이었습니다. 스키마 치료에서 반복된 관계의 패턴을 재구성하듯, 말씀 안에서 우리의 가정과 공동체 안에 건강한 습관과 새로운 해석을 세워 가며, 성령 안에서 관계가 새롭게 빚어지는 루틴이 시작되기를 소망합니다.
성도 여러분, 다니엘이 했던 “전에 하던 대로”는 뜻을 하나님께 정하고, 타협하지 않으며 단단하고 좋은 믿음의 습관을 말하는 것입니다. 단단한 습관이 없으면 위기 앞에서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 내 안에 쌓이고 있는 루틴은 무엇입니까? 성령 안에서 말씀, 기도, 감사의 습관을 다시 정돈하십시오. 관계의 어려움 앞에서도 감정적 보복이 아니라 복음적 해석과 용서가 자연스러워지는 삶. 그것이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새 사람의 모습입니다. 믿음의 루틴이 쌓인 사람은 결국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증언하게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