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나의 이웃은 누구인가?
누가복음 10:25-37
누가복음 10:25-37
25 어떤 율법교사가 일어나 예수를 시험하여 이르되 선생님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26 예수께서 이르시되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으며 네가 어떻게 읽느냐 27 대답하여 이르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28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대답이 옳도다 이를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하시니 29 그 사람이 자기를 옳게 보이려고 예수께 여짜오되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니이까 30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나매 강도들이 그 옷을 벗기고 때려 거의 죽은 것을 버리고 갔더라 31 마침 한 제사장이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고 32 또 이와 같이 한 레위인도 그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 피하여 지나가되 33 어떤 사마리아 사람은 여행하는 중 거기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34 가까이 가서 기름과 포도주를 그 상처에 붓고 싸매고 자기 짐승에 태워 주막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니라 35 그 이튿날 그가 주막 주인에게 데나리온 둘을 내어 주며 이르되 이 사람을 돌보아 주라 비용이 더 들면 내가 돌아올 때에 갚으리라 하였으니 36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37 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말씀요약
제목: 과연 나의 이웃은 누구인가?
누가복음 10:25-37절
오늘 본문은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입니다. 한 율법학자가 예수님을 시험하려는 마음으로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을 수 있습니까?’라고 질문하며 시작됩니다. 예수님은 그에게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그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물으십니다. 율법학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라 대답하고, 예수님은 이를 옳다 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율법학자는 스스로를 옳게 보이기 위해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라는 질문으로 이어갔습니다.
예수님은 강도 만난 사람의 비유를 통해 <네 이웃이 누구인가>를 설명하십니다. 제사장과 레위인은 지나 가지만, 사마리아 사람은 불쌍히 여기고 가까이 가서 상처를 싸매고, 주막으로 데려가 돌보며 모든 비용을 감당합니다. 이 비유는 단순한 도덕적 가르침이 아니라, 실제적인 사랑과 섬김, 자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자비란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희생과 값을 지불하는 행동입니다.
내가 이웃에 대한 선한 사람이 되기 앞서서, 첫번째 중요한 인식은 ‘강도 만난 자’는 바로 ‘나’ 라는 사실입니다. 삶을 강탈 당하고, 사랑했던 사람에게 배신, 꿈이 물거품이 되고 믿었던 관계가 깨지고 설명할 수 없는 깊은 상처가 삶을강탈했습니다. 무너진 우리를 예수님께서 찾아오셨고, 불쌍히 여겨주셨습니다.(33) 모두가 피할 때 가까이 다가오셨습니다.(34) 상처를 싸매어 주시고, 돌보아주셨습니다.(34) 모든 비용을 대신 내 주셨습 니다(35). 예수님은 그저 바라만 보며 지나치지 않으시고 말로만 하지 않으셨 습니다. 강도 만난 나를 불쌍히 여기시며 함께 하시고 친히 값을 치르셨습니다. 이 은혜를 받은 우리는 이제 강도 만난 자를. 향해 선한 사마리아인 처럼 다가가야 함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율법학자는 ‘누가 나의 이웃인가’를 고르려 했지만, 예수님은 ‘너는 누구의 이웃이 되어줄 수 있는가’를 말씀하십니다. 교회는 병원이며, 아픈 사람들이 오는 곳입니다. 사랑할 만한 사람만이 아니라, 불편하고 어려운 사람에게도 이웃이 되어야 합니다. 내가 이웃이 되어 주는 것.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그럼에도 오늘 또 다시 결단해야할 것은 교회 안에서 내가 먼저 다가가고 섬기는 삶, 예수님처럼 가까이 가는 삶을 살아야 갈 때 강도만난 이웃들이 살아날 것이며 예수님의 사랑은 교회를 통해서 흘러가게 될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 비유를 통해, 예수님의 자비와 희생을 본받아 이웃을 향한 사랑을 실제로 행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다시금 결단하게 됩니다. 진정한 이웃은 선택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보내신 자이며, 우리는 그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자로 부름받았습니다. 그러므로 말이 아닌 행함으로, 섬김과 자비로,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축원합니다.